김용현의 '내란' 비화폰은 지금 경호처에‥검찰은 왜 깡통폰만 챙겼을까?

다음 

네이버

[뉴스데스크]

◀ 앵커 ▶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경호처에서 지급받아 내란을 지휘할 당시 사용했던 비화폰이, 다시 경호처로 넘어간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검찰이 작년 12월 김 전 장관을 긴급체포할 당시 확보한 건 문제의 비화폰이 아니라, 김 전 장관 개인의 이른바 깡통폰을 확보했는데요.

더 의문스러운 부분은, 문제의 비화폰 관련 기록을 수사하기 위해, 경찰이 경호처 김성훈 차장에 대해 신청한 구속영장을, 검찰이 계속 가로막고 있다는 점입니다.

첫 소식, 이덕영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리포트 ▶

작년 12월 8일,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체포했다고 기자들에게 문자로 공지했습니다.

"김용현을 긴급체포한 뒤 휴대전화를 압수했다"며 철저한 수사를 예고하는 듯한 문자를 발송했습니다.

그런데 압수했다는 휴대전화는 내란과는 별 관련 없는 김 장관의 개인 휴대전화였습니다.

이마저도 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5일과 6일 이틀간 유심을 갈아 끼우며 세 차례나 교체해, 텅 비어버린 이른바 깡통폰이었습니다.

검찰은 핵심 증거인 경호처가 제공한 비화폰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확보하지 않았습니다.

김용현 장관은 이 비화폰으로 비상계엄 선포를 전후해 군 지휘관들과 통화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지난 6일)] "김용현 전 장관이 저한테 '비화폰이 녹화가 되고 녹음이 안 되니까 당당하게 가라'라고 얘기를 5일날 저녁에 저한테 했습니다."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은 "김 전 장관이 군 비화폰 대신 경호처 비화폰으로만 전화해 의아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하기도 했습니다.

이 비화폰은 내란의 전모가 농축된 핵심 중의 핵심 증거입니다.

그런데 검찰은 김 전 장관을 체포하면서 이 비화폰이 있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가져가지 않았습니다.

[이진동/대검찰청 차장-민병덕/더불어민주당 의원] "<전화번호를 알았던 거잖아요. 어쨌든.> 수사팀에서 그 (김용현 전 장관) 번호를 받았습니다."

결국 이 비화폰은 12월 12일, 모종의 경로를 통해 경호처로 넘어갔습니다.

사실상 지금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손에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긴급체포된 피의자가 핵심 증거를 빼돌린 것입니다.

이렇게 비화폰을 손에 넣은 경호처는 통신기록이 남아 있는 서버에 대한 경찰의 압수수색을 지속적으로 방해하고 있습니다.

김성훈 경호처 차장은 서버의 기록 보존 기간이 이틀에 불과하다고 스스로 밝히기도 했습니다.

[김성훈/경호처 차장 (지난 1월 24일)] "이틀마다 자동 삭제되게 돼 있습니다. 자동 삭제돼 있는 거를 제가 (서버기록 삭제하도록) 지시할 이유도 없습니다."

문재인 정부 시절 한 달이었던 비화폰 서버의 보존 기간을 이틀로 대폭 줄인 건 다름 아닌 김성훈 차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은 경호처 김성훈 차장에 대해 세 번째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이번에도 이를 반려했습니다.

내란의 핵심으로 향하는 수사가 고비마다 검찰의 문턱에 걸리며 좌절되는 듯한 모습입니다.

MBC뉴스 이덕영입니다.

영상취재: 이관호 / 영상편집: 조민우

이덕영 기자(deok@mbc.co.kr)


비상 계엄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사용했던 비화폰.. 현재 경호처에 있다고 합니다. 

검찰이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을 체포하면서 휴대폰을 확보했는데.. 그건 그냥 일반 휴대폰이라 합니다. 

하지만 비상 계엄 당시 쓰던건 비화폰... 근데 비화폰은 놔두고 일반 휴대폰을 챙긴 검찰... 

그래놓고.. 그리 자랑스럽게 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배포했지만... 결국 나온건 없는 깡통폰이었다는 언론사 보도내용이군요. 

그래놓고... 정작 경찰이 경호처 차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해달라 검찰에 요구했지만... 지금까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검찰은 뭔 생각으로 제대로된 증거확보도 안하고.. 구속영장 발부해달라는 경찰의 요구도 묵살할까... 

둘중 하나일 겁니다.. 

하나는 수사욕심... 현직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에 대해 내란과 직권남용으로 처벌을 하는 성과를 올리는 것... 그래서 이후 검수완박의 폐지와.. 삭감된 특활비.. 특경비 복구.. 그외 떡고물을 먹을려 하거나...

비상 계엄에 검찰이 여러 방식으로 개입했거나 말이죠.. 즉 비상 계엄에 검찰이 알게모르게 협조했다가 비상 계엄이 실패로 돌아가니... 자신들의 흔적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거나... 

현재의 검찰의 행적은 매우 수상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현직 대통령의 내란혐의를 수사할 주체는 경찰입니다. 관련해서 경호처장에 대한 구속.. 경호처 압수수색.. 경찰이 주도적으로 나서야 하는 상황임에도.. 

현재 검찰은 명백히 경찰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혹여... 검찰은 과거의 자신들의 상관을 위해 이러는거 아닐까 의심합니다. 아직도 과거 검찰총장이었던 이에게 충성하고 있는 것 아닐까 의심합니다. 그렇게 보이도록 검찰은 스스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