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령자인 게시물 표시

고령자 재고용·정년 연장 현실화되나

이미지
다음 네이버 내년부터 고령자 48만명씩 급증 한국의 인구구조 지각변동이 빨라지고 있다.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내년부터 고령자는 한해 50만명 가까이 급증한다. 저출산·고령화가 미치는 파장이 커지자 정부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정부는 단기적으로 은퇴한 고령자의 재고용, 중장기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고령자를 일터에 더 오랜 기간 묶어두면서 노인 빈곤 문제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전략이다. 2일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2029년까지 만 65세 이상 고령자는 연평균 48만명이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갈수록 심화하는 저출산 현상으로 노동시장에 새로 유입되는 인구는 줄어든다. 이대로 가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급격하게 감소할 수밖에 없다. 2017년 3757만2000명이었던 생산가능인구는 내년에 3735만8000명으로 감소하고, 2038년이 되면 2000만명 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일할 사람이 줄어 경제 성장은 정체되는데, 노인은 늘어 부양 부담이 늘어나는 ‘이중고’에 직면하는 셈이다. 기획재정부가 주축이 된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는 지난 4월부터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대안은 ‘노인 재고용’이다. 만 60세 정년에 맞춰 은퇴한 고령자를 회사가 종전보다 조금 낮은 임금 수준으로 재고용하는 것이다. 정부는 세제 혜택 등 지원책으로 기업의 자발적 재고용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고령자 입장에서는 꾸준히 소득을 유지할 수 있어 노인 빈곤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년을 65세까지 늘리는 안도 검토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정년 연장문제를 사회적으로 논의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당장 시행하기에는 장애물이 많다. 한국 노동시장은 근속연수가 올라가면 임금도 따라 오르는 ‘연공급’ 체계에 기반을 둔다. 정년이 연장되면 기업의 인건비가 오를 수밖에 없다. 때문에 정년 연장을 논의하려면 필수적으로